전주덕진소방서(서장 김현철)는 이번 주 비와 눈이 내린 뒤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랭질환에 주의를 당부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 겨울은 찬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지며, 12월 평균기온은 평년(0.5 ~ 1.7°C)과 비슷하거나 낮을 확률이 각각 40%, 1월 평균기온은 평년(-0.5 ~ -0.3°C)과 비슷할 확률이 50%정도 되겠으나 기온변화가 클 것으로 전망했다.
한랭질환 중 저체온증은 체온이 35°C 미만으로 떨어진 상태로 의식이 희미해지고 호흡과 맥박이 느려진다. 28°C 미만이 되면 몸이 굳고, 심정지가 발생할 수 있다.
저체온증 환자를 발견하면 가장 먼저 119로 신고하고 따뜻한 곳으로 이동시켜야 하며, 환자의 옷이 젖은 상태라면 벗긴 후 담요 등으로 감싸주고, 의식이 떨어지지 않도록 119가 올 때까지 말하면서 깨어 있게 해야 한다. 이미 심정지 상태가 왔다면 심폐소생술을 실시해야 한다.
동창과 동상도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는 한랭질환이다. 주로 코, 귀, 뺨, 턱, 손·발가락 등에서 나타나기 쉬우며, 가려움과 화끈거림을 동반할 수 있다.
동창은 다습하고 가벼운 추위(0℃~10℃)에 지속해서 노출돼 말초의 혈류 장애로 인한 피부와 피부조직의 염증반응을 말하는 것으로 동창 부위를 따뜻한 물(37~39℃)에 담그거나 약하게 마사지하면 증상이 완화된다.
동상의 경우에는 동창보다 심각한 상태로 강한 한파에 노출됨으로써 피부 및 피하조직이 동결하여 손상되는 것을 말하며, 증상이 심해지면 동상 부위에 감각이 없어지고 조직이 괴사 되며, 신체를 절단해야 할 수도 있다.
동상이 생기면 따뜻한 물(37~39℃)에 해당 부위를 20~40분간 담근다. 이 때 동창과는 달리 마사지하거나 문지르면 더 많은 손상이 발생하므로 이런 행위는 하지 말아야 한다.
전주덕진소방서 염정길 구조구급팀장은 “고령자와 어린이는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유지 기능이 약하다”며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부득이 외출 시에는 보온에 각별히 주의해 주길바란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