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1-15(수)
 


전북소방.png


○ 1,182건 화재 발생 전년대비 10.1% 감소, 임야화재는 32.7% 감소해

○ 주거시설 사망자 중 66.7% 농촌지역 고령층, 긴급 화재안전대책 추진

○ 긴급 화재안전대책 추진 이후 방화 추정 사망자 이외에 발생하지 않아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본부장 이오숙)가 2024년 상반기 화재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년대비 화재 발생 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도내에서 발생한 화재는 모두 1,182건으로 전년 동기간 1,315건 대비 10.1%(133건) 감소했고, 재산피해 역시 총 110억여원으로 전년도(200억여원) 대비 45.0%(90억여원) 감소했다.

인명피해는 60명(사망 12명, 부상 48명)으로, 사망자는 전년도 대비 7.7%(1명)가 감소한 12명, 부상자는 전년도 대비 20.0%(8명)가 증가한 48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연도

화재발생()

인 명 피 해()

재산피해

(백만원)

사망

부상

2024

1,182

60

12

48

11,032

2023

1,315

53

13

40

20,075

전년

대비

증감

-133

7

-1

8

-9,043

비율(%)

-10.1

13.2

-7.7

20.0

-45.0


2024년 상반기 화재로 인한 사망자 중 주거시설 사망자가 75.0%(9명)으로 다수를 차지했고, 부상자 또한 39.6%(19명)이 주거시설에서 발생했는데, 주목할 점은 주거시설 사망자 중 66.7%(6명)은 농촌지역 60세 이상 고령층이라는 점이다. 모두 1월 초에 난 주택화재로 인해 사망했다.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농촌지역 고령층 화재 사망자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농촌지역 고령층 긴급 화재안전대책”을 추진했다.


14개 시군 5,322개 마을회관을 찾아 화재예방교육을 추진하고, 치매, 와상환자 등이 거주하는 714세대를 직접 방문해 전기장판, 아궁이 불씨 확인 등을 통해 안전관리를 지원하는 한편, 노인 가구 957가구에 주택용 소방시설을 보급했다.


긴급 화재안전대책 추진 결과 1월부터 3월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하던 주거시설 사망자는 화재안전대책 추진 이후 5월 군산 임피면 주택화재 사망자(방화 추정) 외에 발생하지 않고 있다. 


화재로 인한 재산피해는 축사 등 산업시설이 48.6%(53억여원)으로 가장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으나, 전년도(139억여원) 대비 61.6%(86억여원) 감소했다. 재산피해가 크게 감소한 이유는 지난해 완주 및 김제 공장화재 등 고액 피해 화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화재 발생 장소별로 살펴보면 임야와 야외화재가 전년도 대비 각각 32.7%, 7.4%로 가장 많이 감소했는데 올해 상반기 많은 강수량 등 날씨의 영향으로 야외 화재가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단위 : 건]

 

구분

 

연도

주거

시설

교육

시설

판매

업무

시설

집합

시설

의료

복지

시설

산업

시설

운수

자동차

시설

문화재

생활

서비스

기타

건축물

자동차

위험물

선박

항공기

임야

기타

(야외)

2024

(점유율)

1,182

257

5

43

6

7

124

5

1

74

106

122

0

2

66

364

(21.7%)

(0.4%)

(3.6%)

(0.5%)

(0.6%)

(10.5%)

(0.4%)

(0.1%)

(6.3%)

(9.0%)

(10.3%)

(0.0%)

(0.2%)

(5.6%)

(30.8%)

2023

1,315

265

0

33

10

8

145

5

0

80

133

145

0

0

98

393

전년

대비

증감

-133

-8

5

10

-4

-1

-21

0

1

-6

-27

-23

0

2

-32

-29

%

-10.1

-3.0

100.0

30.3

-40.0

-12.5

-14.5

0.0

100.0

-7.5

-20.3

-15.9

0.0

100.0

-32.7

-7.4


화재 발생 원인별로는 부주의에 의한 화재가 58.0%(685건), 전기적 요인 18.4%(218건), 기계적 요인 8.6%(102건) 등 순으로 나타났다.

부주의에 의한 화재는 전년 동기간 대비 14.8%(119건) 감소하여 원인별 화재 중 가장 감소 폭이 컸음에도 여전히 화재 발생 원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구분

연도

전기

기계

제품

결함

화학

가스

누출

교통

사고

부주의

기타

자연

방화*

미상

2024

(점유율)

1,182

218

102

5

21

3

7

685

12

7

20

102

(18.4%)

(8.6%)

(0.4%)

(1.8%)

(0.3%)

(0.6%)

(58.0%)

(1.0%)

(0.6%)

(1.7%)

(8.6%)

2023

1,315

227

110

5

12

2

11

804

21

14

19

90

전년

대비

증감

-133

-9

-8

0

9

1

-4

-119

-9

-7

1

12

%

-10.1

-4.0

-7.3

0.0

75.0

50.0

-36.4

-14.8

-42.9

-50.0

5.3

13.3


이오숙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장은 “도민들께서 화기취급 등 안전수칙을 준수하는 등 화재예방에 적극 동참하여 화재가 크게 줄었다”며 “앞으로도 전북특별자치도 소방본부는 화재 통계분석을 바탕으로 선제적이고 도내 여건에 적합한 대책을 적극 추진하여 도민의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BEST 뉴스

전체댓글 0

  • 19829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24년 상반기 화재 통계 분석 결과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