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4-10(목)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뉴스광장 검색결과

  • 전북특별자치도 소방공무원 식사 질 상향
    전북특별자치도가 도내 8개 소방서에 집단급식소를 운영해 소방공무원의 급식환경을 개선한다. 이번 사업은 소방공무원의 균형 잡힌 식사 제공과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추진되며, 전주, 군산, 익산 등 주요 소방서에서 운영된다. 이번 집단급식소 운영은 위탁 용역 방식으로 추진되며, 총 사업비는 9억 900만원을 집중 투자하여, 8개 소방서에 영양사 8명과 조리사 16명이 배치되어 운영 중이다. 운영 대상 소방서는 전주덕진, 전주완산, 군산, 익산, 정읍, 남원, 김제, 완주소방서 직할119안전센터이다. 급식 단가는 기존 3,920원에서 8,280원으로 대폭 인상됐다. 이를 통해 일반 성인 남성 1일 권장섭취량보다 1.2배 높은 영양 기준과 소요열량을 적용해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소방서 내 급식소는 ‘집단급식소’로 관할 지자체에 신고 후 운영되며, 식품위생법에 따른 급식소 내부와 식재료 관리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이뤄진다. 이를 통해 식중독 등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고, 보다 건강한 식단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기존 전북 소방공무원의 한 끼 식사 단가는 평균 3,920원으로, 다른 시도보다 낮아 부실 급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2024년 소방청 국정감사에서 소방서 급식의 질적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급식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조리 인력 인건비가 지원되면서, 기존 직원 부담금으로 운영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안정적인 급식 운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구조대원은 “식사가 규칙적으로 제공되니 체력 유지에도 확실히 도움이 된다”며, “든든한 한 끼를 편하게 먹을 수 있어 좋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소방공무원들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24시간 근무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며 “그들이 건강한 식사를 할 수 있어야 현장에서 최고의 대응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현재 시행되지 않은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고창, 부안 등 7개 군 지역 소방관서에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전주완산소방서를 방문해 급식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대원들과 함께 점심을 먹으며 격려했다.
    • 뉴스광장
    • 사회,단체
    2025-03-24
  • 무주군, 감염병으로부터 군민 건강 지킨다!
    무주군이 감염병 예방 교육과 접종, 검사 등의 지원을 통해 군민 건강을 지키는 데 앞장서고 있다. 무주군보건의료원에 따르면 지역아동센터 6곳을 찾아가 감염병 예방접종 및 호흡기 감염병, 그리고 로타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방역 수칙 등을 공유하고 있으며 지역 내 경로당과 반딧불농업대학 등지에서도 고령층과 농업인 대상 호흡기 감염병, 진드기 매개 감염병(쯔쯔가무시증, SFTS)의 주요증상 및 예방 수칙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 금강 유역 거주 주민 대상으로는 간흡충증 등 12종의 장내기생충 무료 검사도 진행한다. 질병관리청과 연계해 추진하는 이 사업은 장내기생충 감염(제4급 법정 감염병)률을 낮추기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보건의료원 담당자가 신청 마을을 방문해 감염병 예방교육과 검체 채취 방법 등을 공유한다.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은 주민에게는 치료제를 제공하며 2~3개월 후 재검사를 진행, 완치 여부를 확인하는 등 관심을 쏟을 계획이다. 장내기생충 감염병은 민물고기 생식·오염 조리도구의 사용 등으로 인해 기생충이 간 또는 담관에 살면서 일으키는 질병으로 담관암의 선행요인이 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면역력이 약해진 고령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폐렴구균 예방을 위한 접종도 연중 실시한다. 폐렴구균은 패혈증과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 하나로, 치사율이 최대 80%에 이른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평생 한 번만 접종하면 폐렴구균 감염 및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무료 접종 대상은 ‘폐렴구균 23가 다당백신(PPSV23)’을 한 번도 접종하지 않은 65세 이상(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어르신으로 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건의료원이나 지역 내 위탁의료기관을 방문·접종하면 된다. 국가건강검진에서 C형간염 검사를 통해 항체 양성 판정을 받은 56세(1969년생) 이상 주민들의 확진 검사 비용도 지원한다. C형간염은 초기 증상이 없어 만성 간질환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은 질병으로 종합병원을 제외한 병·의원에서 확진 검사를 받은 후 정부24 누리집(홈페이지), 또는 보건의료원 감염병관리팀(320-8220, 8221)으로 방문·신청하면 된다. 무주군보건의료원 감염병관리팀 김미화 팀장은 “감염병은 나와 가족, 나아가 지역 전체를 고통에 빠뜨릴 수 있는 질병”이라며 “무주군에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건강한 생활 수칙 확산과 홍보, 접종에 주력하고 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과 치료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 뉴스광장
    • 사회,단체
    2025-03-11

지역뉴스 검색결과

  • 전북특별자치도 소방공무원 식사 질 상향
    전북특별자치도가 도내 8개 소방서에 집단급식소를 운영해 소방공무원의 급식환경을 개선한다. 이번 사업은 소방공무원의 균형 잡힌 식사 제공과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추진되며, 전주, 군산, 익산 등 주요 소방서에서 운영된다. 이번 집단급식소 운영은 위탁 용역 방식으로 추진되며, 총 사업비는 9억 900만원을 집중 투자하여, 8개 소방서에 영양사 8명과 조리사 16명이 배치되어 운영 중이다. 운영 대상 소방서는 전주덕진, 전주완산, 군산, 익산, 정읍, 남원, 김제, 완주소방서 직할119안전센터이다. 급식 단가는 기존 3,920원에서 8,280원으로 대폭 인상됐다. 이를 통해 일반 성인 남성 1일 권장섭취량보다 1.2배 높은 영양 기준과 소요열량을 적용해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소방서 내 급식소는 ‘집단급식소’로 관할 지자체에 신고 후 운영되며, 식품위생법에 따른 급식소 내부와 식재료 관리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이뤄진다. 이를 통해 식중독 등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고, 보다 건강한 식단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기존 전북 소방공무원의 한 끼 식사 단가는 평균 3,920원으로, 다른 시도보다 낮아 부실 급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2024년 소방청 국정감사에서 소방서 급식의 질적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급식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조리 인력 인건비가 지원되면서, 기존 직원 부담금으로 운영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안정적인 급식 운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구조대원은 “식사가 규칙적으로 제공되니 체력 유지에도 확실히 도움이 된다”며, “든든한 한 끼를 편하게 먹을 수 있어 좋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소방공무원들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24시간 근무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며 “그들이 건강한 식사를 할 수 있어야 현장에서 최고의 대응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현재 시행되지 않은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고창, 부안 등 7개 군 지역 소방관서에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전주완산소방서를 방문해 급식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대원들과 함께 점심을 먹으며 격려했다.
    • 뉴스광장
    • 사회,단체
    2025-03-24
  • 무주군, 감염병으로부터 군민 건강 지킨다!
    무주군이 감염병 예방 교육과 접종, 검사 등의 지원을 통해 군민 건강을 지키는 데 앞장서고 있다. 무주군보건의료원에 따르면 지역아동센터 6곳을 찾아가 감염병 예방접종 및 호흡기 감염병, 그리고 로타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방역 수칙 등을 공유하고 있으며 지역 내 경로당과 반딧불농업대학 등지에서도 고령층과 농업인 대상 호흡기 감염병, 진드기 매개 감염병(쯔쯔가무시증, SFTS)의 주요증상 및 예방 수칙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 금강 유역 거주 주민 대상으로는 간흡충증 등 12종의 장내기생충 무료 검사도 진행한다. 질병관리청과 연계해 추진하는 이 사업은 장내기생충 감염(제4급 법정 감염병)률을 낮추기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보건의료원 담당자가 신청 마을을 방문해 감염병 예방교육과 검체 채취 방법 등을 공유한다.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은 주민에게는 치료제를 제공하며 2~3개월 후 재검사를 진행, 완치 여부를 확인하는 등 관심을 쏟을 계획이다. 장내기생충 감염병은 민물고기 생식·오염 조리도구의 사용 등으로 인해 기생충이 간 또는 담관에 살면서 일으키는 질병으로 담관암의 선행요인이 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면역력이 약해진 고령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폐렴구균 예방을 위한 접종도 연중 실시한다. 폐렴구균은 패혈증과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 하나로, 치사율이 최대 80%에 이른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평생 한 번만 접종하면 폐렴구균 감염 및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무료 접종 대상은 ‘폐렴구균 23가 다당백신(PPSV23)’을 한 번도 접종하지 않은 65세 이상(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어르신으로 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건의료원이나 지역 내 위탁의료기관을 방문·접종하면 된다. 국가건강검진에서 C형간염 검사를 통해 항체 양성 판정을 받은 56세(1969년생) 이상 주민들의 확진 검사 비용도 지원한다. C형간염은 초기 증상이 없어 만성 간질환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은 질병으로 종합병원을 제외한 병·의원에서 확진 검사를 받은 후 정부24 누리집(홈페이지), 또는 보건의료원 감염병관리팀(320-8220, 8221)으로 방문·신청하면 된다. 무주군보건의료원 감염병관리팀 김미화 팀장은 “감염병은 나와 가족, 나아가 지역 전체를 고통에 빠뜨릴 수 있는 질병”이라며 “무주군에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건강한 생활 수칙 확산과 홍보, 접종에 주력하고 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과 치료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 뉴스광장
    • 사회,단체
    2025-03-11

포토뉴스 검색결과

  • 전북특별자치도 소방공무원 식사 질 상향
    전북특별자치도가 도내 8개 소방서에 집단급식소를 운영해 소방공무원의 급식환경을 개선한다. 이번 사업은 소방공무원의 균형 잡힌 식사 제공과 근무 여건 개선을 위해 추진되며, 전주, 군산, 익산 등 주요 소방서에서 운영된다. 이번 집단급식소 운영은 위탁 용역 방식으로 추진되며, 총 사업비는 9억 900만원을 집중 투자하여, 8개 소방서에 영양사 8명과 조리사 16명이 배치되어 운영 중이다. 운영 대상 소방서는 전주덕진, 전주완산, 군산, 익산, 정읍, 남원, 김제, 완주소방서 직할119안전센터이다. 급식 단가는 기존 3,920원에서 8,280원으로 대폭 인상됐다. 이를 통해 일반 성인 남성 1일 권장섭취량보다 1.2배 높은 영양 기준과 소요열량을 적용해 균형 잡힌 식사를 제공할 방침이다. 또한, 소방서 내 급식소는 ‘집단급식소’로 관할 지자체에 신고 후 운영되며, 식품위생법에 따른 급식소 내부와 식재료 관리 등 철저한 위생 관리가 이뤄진다. 이를 통해 식중독 등 위험 요소를 최소화하고, 보다 건강한 식단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기존 전북 소방공무원의 한 끼 식사 단가는 평균 3,920원으로, 다른 시도보다 낮아 부실 급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2024년 소방청 국정감사에서 소방서 급식의 질적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급식환경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사업을 통해 조리 인력 인건비가 지원되면서, 기존 직원 부담금으로 운영되던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안정적인 급식 운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구조대원은 “식사가 규칙적으로 제공되니 체력 유지에도 확실히 도움이 된다”며, “든든한 한 끼를 편하게 먹을 수 있어 좋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소방공무원들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24시간 근무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며 “그들이 건강한 식사를 할 수 있어야 현장에서 최고의 대응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현재 시행되지 않은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고창, 부안 등 7개 군 지역 소방관서에도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전주완산소방서를 방문해 급식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현장 대원들과 함께 점심을 먹으며 격려했다.
    • 뉴스광장
    • 사회,단체
    2025-03-24
  • 무주군, 감염병으로부터 군민 건강 지킨다!
    무주군이 감염병 예방 교육과 접종, 검사 등의 지원을 통해 군민 건강을 지키는 데 앞장서고 있다. 무주군보건의료원에 따르면 지역아동센터 6곳을 찾아가 감염병 예방접종 및 호흡기 감염병, 그리고 로타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방역 수칙 등을 공유하고 있으며 지역 내 경로당과 반딧불농업대학 등지에서도 고령층과 농업인 대상 호흡기 감염병, 진드기 매개 감염병(쯔쯔가무시증, SFTS)의 주요증상 및 예방 수칙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 금강 유역 거주 주민 대상으로는 간흡충증 등 12종의 장내기생충 무료 검사도 진행한다. 질병관리청과 연계해 추진하는 이 사업은 장내기생충 감염(제4급 법정 감염병)률을 낮추기 위해 추진하는 것으로, 보건의료원 담당자가 신청 마을을 방문해 감염병 예방교육과 검체 채취 방법 등을 공유한다.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은 주민에게는 치료제를 제공하며 2~3개월 후 재검사를 진행, 완치 여부를 확인하는 등 관심을 쏟을 계획이다. 장내기생충 감염병은 민물고기 생식·오염 조리도구의 사용 등으로 인해 기생충이 간 또는 담관에 살면서 일으키는 질병으로 담관암의 선행요인이 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면역력이 약해진 고령층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폐렴구균 예방을 위한 접종도 연중 실시한다. 폐렴구균은 패혈증과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 하나로, 치사율이 최대 80%에 이른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평생 한 번만 접종하면 폐렴구균 감염 및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무료 접종 대상은 ‘폐렴구균 23가 다당백신(PPSV23)’을 한 번도 접종하지 않은 65세 이상(1960년 12월 31일 이전 출생) 어르신으로 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건의료원이나 지역 내 위탁의료기관을 방문·접종하면 된다. 국가건강검진에서 C형간염 검사를 통해 항체 양성 판정을 받은 56세(1969년생) 이상 주민들의 확진 검사 비용도 지원한다. C형간염은 초기 증상이 없어 만성 간질환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은 질병으로 종합병원을 제외한 병·의원에서 확진 검사를 받은 후 정부24 누리집(홈페이지), 또는 보건의료원 감염병관리팀(320-8220, 8221)으로 방문·신청하면 된다. 무주군보건의료원 감염병관리팀 김미화 팀장은 “감염병은 나와 가족, 나아가 지역 전체를 고통에 빠뜨릴 수 있는 질병”이라며 “무주군에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해 건강한 생활 수칙 확산과 홍보, 접종에 주력하고 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과 치료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 뉴스광장
    • 사회,단체
    2025-03-1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