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뉴스광장 검색결과
-
-
고품질 쌀 생산 기반 다져 농가소득 상승
- 무주군(군수 황인홍)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2025년 고품질 쌀 생산 기반 마련을 위해 15억여 원을 투입한다고 알렸다. 5월부터 못자리 벼 육묘와 상토(1ha당 40kg), 벼 종자 소독 약제를 지원할 예정으로, 벼 육묘는 지역 내 공동육묘장 20개소와 협력해 오는 6월 말까지 6개 읍면 벼 재배 1,591농가에 271,999판을 공급한다. 또 읍면 농업인 상담소장이 공동육묘장 운영자를 찾아 품질 좋은 육묘 생산을 위한 벼 육묘용 경량상토 활용법과 볍씨 소독 및 못자리 적기 설치 등을 지도한다. 이외에도 쌀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곡물 건조기(2천만 원/1대당), 소규모 육묘장, 볏짚 환원 등의 사업을 추진해 쌀 품질 고급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무주농업기술센터 신상범 소장은 “농촌의 고령․부녀화에 따른 부족한 일손을 해소하고 수도작 농가의 농업경영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무주군 `고품질 쌀 생산 정책`이 농식품부 `벼 재배면적 조정제 사업`과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면 산지 쌀값 정상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무주군의 2025년 기준 벼 재배면적은 789ha로, 쌀 소비량 감소와 벼 재배면적 조정제 사업으로 2024년 대비 66ha가 감소했다.
-
- 뉴스광장
- 사회,단체
-
고품질 쌀 생산 기반 다져 농가소득 상승
-
-
부안군, 2025년도 천년의솜씨 생산단지 지원사업 신청 시작
- 부안군은 2025년도 천년의솜씨 생산단지 지원사업을 오는 25일까지 희망 RPC에서 신청받는다고 알렸다. 천년의솜씨 지원사업은 부안 브랜드쌀 ‘천년의솜씨’를 전국 최우수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되며 농가의 적기 이앙 여부, 잡초 및 도복 피해, 산물벼 수매 여부 등을 세 차례에 걸쳐 점검한 후 모든 사항을 이행한 농가에게 단백질 인센티브와 생산장려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RPC와 농가 간 약정을 체결할 경우 신청 농지는 경영체 등록 및 올해 직불제 신청이 완료돼 있어야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직불금 신청내역을 지참한 후 RPC에서 신청·접수해야 하며 단 직불금을 비대면으로 신청한 농가는 직불금 전산 확인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서류 지참이 필요 없다. 또 2023~2024년 미이행 농지와 이모작 및 감자하우스 재배 농지는 신청할 수 없으며 농가별 신청 가능 면적은 최대 8ha까지이다. 농가에게 지급되는 단백질 생산장려금은 단백질함량 6% 이하와 6.1~6.5%는 ㎏당 100원, 6.6~6.9%는 ㎏당 80원, 7% 이상은 ㎏당 50원이고 7% 이상은 내년도 사업에서 제외된다. 단백질 인센티브는 단백질함량 6% 이하는 ㎏당 30원, 6.1~6.5%는 ㎏당 15원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중요한 사업으로 많은 농가가 참여해 부안 쌀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자세한 사항은 부안군청 브랜드팀(☎ 063-580-4037)이나 해당 읍·면 산업팀으로 문의해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
- 뉴스광장
- 사회,단체
-
부안군, 2025년도 천년의솜씨 생산단지 지원사업 신청 시작
지역뉴스 검색결과
-
-
고품질 쌀 생산 기반 다져 농가소득 상승
- 무주군(군수 황인홍)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2025년 고품질 쌀 생산 기반 마련을 위해 15억여 원을 투입한다고 알렸다. 5월부터 못자리 벼 육묘와 상토(1ha당 40kg), 벼 종자 소독 약제를 지원할 예정으로, 벼 육묘는 지역 내 공동육묘장 20개소와 협력해 오는 6월 말까지 6개 읍면 벼 재배 1,591농가에 271,999판을 공급한다. 또 읍면 농업인 상담소장이 공동육묘장 운영자를 찾아 품질 좋은 육묘 생산을 위한 벼 육묘용 경량상토 활용법과 볍씨 소독 및 못자리 적기 설치 등을 지도한다. 이외에도 쌀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곡물 건조기(2천만 원/1대당), 소규모 육묘장, 볏짚 환원 등의 사업을 추진해 쌀 품질 고급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무주농업기술센터 신상범 소장은 “농촌의 고령․부녀화에 따른 부족한 일손을 해소하고 수도작 농가의 농업경영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무주군 `고품질 쌀 생산 정책`이 농식품부 `벼 재배면적 조정제 사업`과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면 산지 쌀값 정상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무주군의 2025년 기준 벼 재배면적은 789ha로, 쌀 소비량 감소와 벼 재배면적 조정제 사업으로 2024년 대비 66ha가 감소했다.
-
- 뉴스광장
- 사회,단체
-
고품질 쌀 생산 기반 다져 농가소득 상승
-
-
부안군, 2025년도 천년의솜씨 생산단지 지원사업 신청 시작
- 부안군은 2025년도 천년의솜씨 생산단지 지원사업을 오는 25일까지 희망 RPC에서 신청받는다고 알렸다. 천년의솜씨 지원사업은 부안 브랜드쌀 ‘천년의솜씨’를 전국 최우수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되며 농가의 적기 이앙 여부, 잡초 및 도복 피해, 산물벼 수매 여부 등을 세 차례에 걸쳐 점검한 후 모든 사항을 이행한 농가에게 단백질 인센티브와 생산장려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RPC와 농가 간 약정을 체결할 경우 신청 농지는 경영체 등록 및 올해 직불제 신청이 완료돼 있어야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직불금 신청내역을 지참한 후 RPC에서 신청·접수해야 하며 단 직불금을 비대면으로 신청한 농가는 직불금 전산 확인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서류 지참이 필요 없다. 또 2023~2024년 미이행 농지와 이모작 및 감자하우스 재배 농지는 신청할 수 없으며 농가별 신청 가능 면적은 최대 8ha까지이다. 농가에게 지급되는 단백질 생산장려금은 단백질함량 6% 이하와 6.1~6.5%는 ㎏당 100원, 6.6~6.9%는 ㎏당 80원, 7% 이상은 ㎏당 50원이고 7% 이상은 내년도 사업에서 제외된다. 단백질 인센티브는 단백질함량 6% 이하는 ㎏당 30원, 6.1~6.5%는 ㎏당 15원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중요한 사업으로 많은 농가가 참여해 부안 쌀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자세한 사항은 부안군청 브랜드팀(☎ 063-580-4037)이나 해당 읍·면 산업팀으로 문의해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
- 뉴스광장
- 사회,단체
-
부안군, 2025년도 천년의솜씨 생산단지 지원사업 신청 시작
포토뉴스 검색결과
-
-
고품질 쌀 생산 기반 다져 농가소득 상승
- 무주군(군수 황인홍)은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2025년 고품질 쌀 생산 기반 마련을 위해 15억여 원을 투입한다고 알렸다. 5월부터 못자리 벼 육묘와 상토(1ha당 40kg), 벼 종자 소독 약제를 지원할 예정으로, 벼 육묘는 지역 내 공동육묘장 20개소와 협력해 오는 6월 말까지 6개 읍면 벼 재배 1,591농가에 271,999판을 공급한다. 또 읍면 농업인 상담소장이 공동육묘장 운영자를 찾아 품질 좋은 육묘 생산을 위한 벼 육묘용 경량상토 활용법과 볍씨 소독 및 못자리 적기 설치 등을 지도한다. 이외에도 쌀 경쟁력 제고를 위해 곡물 건조기(2천만 원/1대당), 소규모 육묘장, 볏짚 환원 등의 사업을 추진해 쌀 품질 고급화에 주력할 계획이다. 무주농업기술센터 신상범 소장은 “농촌의 고령․부녀화에 따른 부족한 일손을 해소하고 수도작 농가의 농업경영비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무주군 `고품질 쌀 생산 정책`이 농식품부 `벼 재배면적 조정제 사업`과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면 산지 쌀값 정상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한편, 무주군의 2025년 기준 벼 재배면적은 789ha로, 쌀 소비량 감소와 벼 재배면적 조정제 사업으로 2024년 대비 66ha가 감소했다.
-
- 뉴스광장
- 사회,단체
-
고품질 쌀 생산 기반 다져 농가소득 상승
-
-
부안군, 2025년도 천년의솜씨 생산단지 지원사업 신청 시작
- 부안군은 2025년도 천년의솜씨 생산단지 지원사업을 오는 25일까지 희망 RPC에서 신청받는다고 알렸다. 천년의솜씨 지원사업은 부안 브랜드쌀 ‘천년의솜씨’를 전국 최우수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해 추진되며 농가의 적기 이앙 여부, 잡초 및 도복 피해, 산물벼 수매 여부 등을 세 차례에 걸쳐 점검한 후 모든 사항을 이행한 농가에게 단백질 인센티브와 생산장려금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RPC와 농가 간 약정을 체결할 경우 신청 농지는 경영체 등록 및 올해 직불제 신청이 완료돼 있어야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직불금 신청내역을 지참한 후 RPC에서 신청·접수해야 하며 단 직불금을 비대면으로 신청한 농가는 직불금 전산 확인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서류 지참이 필요 없다. 또 2023~2024년 미이행 농지와 이모작 및 감자하우스 재배 농지는 신청할 수 없으며 농가별 신청 가능 면적은 최대 8ha까지이다. 농가에게 지급되는 단백질 생산장려금은 단백질함량 6% 이하와 6.1~6.5%는 ㎏당 100원, 6.6~6.9%는 ㎏당 80원, 7% 이상은 ㎏당 50원이고 7% 이상은 내년도 사업에서 제외된다. 단백질 인센티브는 단백질함량 6% 이하는 ㎏당 30원, 6.1~6.5%는 ㎏당 15원이다. 군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중요한 사업으로 많은 농가가 참여해 부안 쌀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자세한 사항은 부안군청 브랜드팀(☎ 063-580-4037)이나 해당 읍·면 산업팀으로 문의해 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
- 뉴스광장
- 사회,단체
-
부안군, 2025년도 천년의솜씨 생산단지 지원사업 신청 시작